본문 바로가기

코리아IT아카데미 [국비과정]/수업

[Windows] DNS 서비스

Windows DNS

(win100에서 ncpa.cpl 네트워크 설정 생략)

서버 관리자에서 기능 추가

서버 역할에서 DNS 서버 체크

DNS 서버(설치) 도구 사용 가능

 

실행창에서 dnsmgmt.msc 입력

(DNS 관리자 접속)

 

정방향 영역(도메인 이름 → IP 주소)

새 영역 추가

 

주 영역에서 sevas10.com 이름의 도메인 생성

새 호스트 ns 레코드를 추가

DNS 요청을 처리할 네임 서버를 지정,

도메인에 대한 권한을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

ns 레코드 속성에서 ns.sevas10.com 서버로 수정

(ns.sevas10.com이 담당하도록 설정)

 

SOA에서 주 서버와 책임자를 sevas10으로 수정

새 호스트 www를 추가

(웹 사이트에 대한 연결)

새 호스트 db를 추가

DNS 시스템 내에서

도메인 이름과 해당 IP 주소를 저장

 

(win200에서도 네트워크 설정 생략) 

win200에도 DNS 서버 체크

(도구 설치)

  win200은 korea10.com 주 영역 추가

 

위 과정인 win100처럼 

새 호스트 ns와 ns.korea10.com 레코드 편집

SOA 속성에서 주서버, 책임자 수정

(win100와 과정 같음, 생략)

win200도 설정 완료

 

win100으로 다시 넘어와서

보조 영역 추가

 

win200의 주 영역 korea10.com을 받아옴

주 DNS, 보조 DNS가 동일한 정보 제공

(장애 발생 시 서비스 중단 X, 신뢰성 향상)

 

korea10.com 보조 영역 추가됨

 

win200에도 보조 영역 추가

(win100의 sevas10.com) 

 

좌(win100), 우(win200)

win100와 win200을 서로 영역 전송함으로써

서버 간의 데이터를 동기화, 부하 분산

 

nslookup : DNS 관련 정보 조회

로키에서 sevas10.com와 korea10.com

확인해보면 도메인에 DNS 정보 출력됨

'코리아IT아카데미 [국비과정] >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Windows] DNS와 Web 연동  (0) 2025.03.04
[Linux] DNS 서비스  (2) 2025.03.04
[Linux/Windows] IPsec  (2) 2025.02.25
[Network] HSRP, VRRP (이중화)  (0) 2025.02.21
[Network] ACL  (0)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