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리아IT아카데미 [국비과정]/수업

[Linux/Windows] DNS와 Web 연동

DNS 실습1 (전달자)

win100 네트워크 설정

win100을 DNS 서버로 설정

호스트 ns 추가, 권한 및 네임서버 설정

 

Windows DNS 참고

 

[코리아IT아카데미] 정보보안산업기사 취득과정B 33일차

Windows DNS(win100에서 ncpa.cpl 네트워크 설정 생략)서버 관리자에서 기능 추가서버 역할에서 DNS 서버 체크DNS 서버(설치) 도구 사용 가능 실행창에서 dnsmgmt.msc 입력(DNS 관리자 접속) 정방향 영역(도메

hanpil00.tistory.com

 

rfc1912.zones 설정파일

192.168.10.20와 192.168.10.30으로

DNS 정보를 전달해줌

 

슬레이브 서버는 마스터로부터

존 정보를 가져옴

 

마스터 DNS에서 받은 데이터를

slaves/sevaswin100.zone 파일에 저장

 

win100에서 192~10와 20을 영역전송

해당 서버로 파일을 보냄

 

마스터와 슬레이브 서버에

각각 데몬 재실행

보조영역 정보를 받아옴

 

sevaswin100의 DNS 응답 확인

 

192.168.10.10
192.168.10.20

각 DNS의 존파일을 불러오는 것을 확인

also-notify : 존 변경사항을 알리도록 설정

마스터서버에서 존 파일이 변경되면 

슬레이브가 바로 데이터를 동기화함

 

win100에서 www를 추가 (업데이트)

 

nslookup 명령을 통해 DNS 정보 조회시

www.sevaswin100.com (DNS 응답 확인)

 


 

DNS 실습2 (RR : Round Robin)

기본 named 설정 파일은

위 실습1 내용과 같음 (생략)

 

sevas10.zone 설정 파일에서

www.sevas10.com은  별칭으로

실제 A레코드를 찾아 IP 주소로 응답

 

web.sevas10.com의

IP주소로 응답하는 것을 확인

 

서버1와 서버2에 각 각 html 내용 추가

 

웹에서 확인해보면

추가한 내용 Server1 확인

 

서버1에서 http 서비스를 죽이게되면

 

우선 순위가 변경되어 서버2의 

html 내용 Server2이 확인됨

'코리아IT아카데미 [국비과정] >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웹 취약점 및 보안, SSL  (0) 2025.03.10
[Linux/Web] HTTP 취약점 및 보안  (0) 2025.03.06
[Linux] DNS 서비스  (2) 2025.03.04
[Windows] DNS 서비스  (0) 2025.02.27
[Linux/Windows] IPsec  (2)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