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와 복호화
평문 "Korea" 를 암호화하여 복호화할 패스워드 "sevas" 사용
암호화 출력문
vi sevas.txt 파일에서 내용을 추가
-a : Base64 형식으로 출력
-in : 암호화할 입력 파일 지정 (대상파일 : sevas)
-out : 암호화된 결과를 저장할 출력 파일을 지정 (대상파일 : enc1.aes)
암호화된 파일 확인해보면 암호문이 나옴
-d : 복호화 모드를 지정하는 옵션
(복호화 하기 위해선 반드시 -d를 명시)
enc1.aes라는 암호화 파일을 복호화할 dec1 파일 지정
복호화해서 내용 출력이 잘 되는 것을 확인
-rsa : rsa키 쌍 생성, 키 변환, 키 추출 등 작업
sevas.key파일 1024비트 길이의 RSA 개인 키 생성
sevas.key 입력 파일, sevas.pub 출력 파일 지정
-pubout : 입력된 rsa 개인 키에서 공개 키를 출력하도록 지정
(개인 키에 대응하는 공개 키만을 추출)
sevas.txt 내용 수정
-pubin : 입력 키 파일이 공개 키임을 명시하는 옵션
sevas.txt 파일을 sevas.pub 공개 키로 암호화하고 sevas.enc에 저장
rsa 개인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sevas.enc 파일을 복호화
복원된 sevas.dec 파일로 저장하는 작업을 수행
*정리*
openssl : 암호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도구
aes-128-cbc : AES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
-a : Base64 인코딩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입력
-pass pass: : 암호화나 복호화 과정에서 비밀번호를 직접 지정
-in : 암호화 또는 복호화 작업에서 입력 파일을 지정
-out : 암호화 또는 복호화 작업에서 출력 파일을 지정
-d : 복호화 작업을 수행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
genrsa : RSA 개인 키를 생성 (암호화, 서명, 인증 등 사용)
-pubout : RSA 개인 키에서 공개 키를 추출
-encrypt : 암호화 작업을 수행 (암호화할 데이터를 공개 키로 암호화)
rsautl :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복호화 (공개 키로 암호화하고 개인 키로 복호화)
-pubin : 입력 키 파일이 공개 키임을 명시
-inkey : 암호화 또는 복호화에 사용할 키를 지정
'코리아IT아카데미 [국비과정] >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SSH 및 포트포워딩 (0) | 2025.02.12 |
---|---|
[Linux/Program] FTP 서비스 (0) | 2025.02.11 |
[Linux] xinetd(슈퍼데몬) (1) | 2025.02.05 |
[Linux/Windows] Promiscous (2) | 2025.02.03 |
[Linux] 방화벽(Firewall) (2)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