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리아IT아카데미 [국비과정]/수업

[Network] GNS

GNS3 다루기

호스트와 라우터 연결 (가상 네트워크 VMnet1으로 설정)

 

라우터에서 ip와 넷마스크 활성화

 

VMware으로 넘어와서 vi ifcfg-ens32를

입력하여 고정 ip 할당하기

 (ip와 gateway, dns 등 설정)

 

VMware에서 핑이 잘 가는지 확인

 

putty로 접속하기 위해 VMware와 GNS에서

할당한 네트워크를 설정(VMnet1에서 연결시켰기 때문)

 

putty에서 200.200.200.200으로 로그인하여 핑이 잘 가는지 체크

VPCS (사설 클라우드)를 220.220.220.220으로 설정하고

라우터를 통해 Host1과 통신 (DHCP 설정하기) 

 

마지막으로 VPCS에서 Host1에게 핑을 보내 잘 가는지 확인

즉 GNS에서 설정하게되면 네트워크를 전부

연결시키기 위해 네트워크어댑터,

putty, VMware 전부 다 설정해주어야 함

 


 

Packet Tracer 정적 라우팅 설정

먼저 라우팅 설정을 위해 

pc에 ip와 netmask, gateway를 입력

router4 설정
en 
conf t
int fa0/0
ip add 200.200.200.10 255.255.255.0
no sh


int fa0/1
ip add 10.10.10.10 255.0.0.0
no sh


router5 설정
en
conf t
int fa0/0
ip add 40.40.40.2 255.0.0.0
no sh


int fa0/1
ip add 10.10.10.20 255.0.0.0
no sh

 

ping 200.200.200.10으로 보내면 핑이 잘 가게되지만

PC5에게 핑을 보내게 되면 클래스와 대역폭이

다르기 때문에 경로가 없어서 핑이 가지 않음

그래서 정적 라우팅 설정을 해주어야 함

 

 

정적 라우팅 설정 (Router4)

en

conf t

ip route 40.0.0.0 255.0.0.0 10.10.10.20

(40으로 시작하는 모든 대역폭이

10.10.10.20으로 거쳐가겠다는 뜻) 

 

정적 라우팅 설정 (Router5)

en

conf t

ip route 200.200.200.0 255.255.255.0 10.10.10.10

(200.200.200으로 시작하는 모든 대역폭이

10.10.10.10으로 거쳐가겠다는 뜻)

 

 

(왜 40.0.0.0이고 200.200.200.0인지, 클래스가 A와 C이기때문이고,

디폴트 라우팅으로 0.0.0.0 (모든대역폭)으로 사용해도 되지만,

부하로 인한 속도 저하가 심하다.)

 

정적 라우팅 설정을 해주었으면 핑을 보내보면

잘 가는지 확인할 수 있음

 

 

디폴트 라우팅

예를 들어서 Router0, 1, 3, 4에서 디폴트라우팅을

사용할 때(빨간 네모표시) Router2에서

무조건 위 예제처럼 정적 라우팅을 설정(경로설정)

 

해설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