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 Layer (open system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
OSI 7계층
7계층 : 응용프로그램
6계층 : 표현
5계층 : 세션
4계층 : 전송
3계층 : 네트워크
2계층 : 데이터링크
1계층 : 물리
국제 표준화기구 ISO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에서
지정한 모델로 네트워크 통신을 7개의 계층 단계로 구성
물리(physical)계층
개념
물리 계층은 실제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적, 물리적 세부 사항들을 정의 즉
인터페이스를 통신 및 전송(cable)
핀들의 배치나 전압, 전선의 명세 등이
이 계층에 포함, 허브(리피터)가 물리 계층의 장치
장치
케이블, 단자, 안테나, 앰프, 버스, 리피터, SFP, GBIC 등
프로토콜
RS232 등, 이더넷, USB 등 케이블, Bluetooth, Wi-Fi, LTE, 5G 등 안테나
데이터링크(datalink)계층
개념
물리 계층에서 구현된 한 단위의 데이터인 프레임을 받아
통신 링크를 따라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로
비트의 흐름을 전자기 또는 광 신호로 변환 후
매체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함
장치
L2 Switch 모뎀, 기지국, AP
[switch] 논리적인 정보가 물리적임
프로토콜
CSMA/CD, CSMA/CA, Slott Aloha, DAC/ADC,
Multiplexer, Demultiplexer, MAC 주소 관리 등
네트워크(network)계층
개념
네트워크 계층은 여러 개의 노드를 거칠 때마다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을 하는 계층으로 다양한 길이의
데이터를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달하고, 그 과정에서 전송 계층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Qos)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적, 절차적 수단을 제공
IT통신, 논리적인 주소 (icmp, ip, arp) [router]
장치
Router(라우터), L3 Switch
프로토콜
IP, ARP/NDP, ICMP, RIP, RIP v2, OSPF, IGRP,
EIGRP, BGP 등등의 Routing Protocol, AS번호, NAT 등
+
ICMP, 사람이 볼수있는 메세지 형태로 출력
IP, 논리주소
ARP, 주소대응프로토콜
논리주소 → 물리주소 ARP
물리주소 → 논리주소 RARP
전송(transport)계층
개념
전송 계층은 양 끝단(End to end)의 사용자들이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해 주어,
상위 계층들이 데이터 전달의 유효성이나
효율성을 생각하지 않도록 해주고,
시퀀스 넘버 기반의 오류 제어 방식을 사용
통신방식을 결정한다 (TCP/UDP)
장치
L4 Switch
프로토콜
TCP, UDP
TCP : 연결지향성, 신뢰성, 대화형 터미널, 대부분의 서비스, (속도 ↓)
UDP : 비연결지향성, 비신뢰성, 스트리밍, 실시간 동영상 등 (속도 ↑)
세션(sesstion)계층
개념
세션 계층은 양 끝단의 응용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프로토콜제어)을 제공
동시 송수신 방식(duplex), 반이중 방식(half-duplex),
전이중 방식(Full Duplex)의 통신과 함께,
체크 포인팅과 유휴, 종료, 다시 시작 과정 등을 수행
장치
L4 Switch
프로토콜
RPC, NetBIOS
표현(presentation)계층
개념
표현 계층은 코드간의 번역을 담당하여
사용자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형식상 차이를
다루는 부담을 응용 계층으로부터 덜어 줌
데이터 유형(확장자정의)
주요 기능
수신자 장치에서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송신자 장치로부터온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응용계층 데이터 부호화,변환
수신자에서 압축을 풀수있는 방식으로 된 데이터 압축
전송을 위한 암호화와 복호화
장치
코덱
프로토콜
ASCII, 유니코드, MIME, EBCDIC, UTF-8,
MBCS. EUC-KR, JPG, MP3, MPEG 등
응용(application)계층
개념
TCP/IP 4계층일 경우 하위 3계층 TCP/IP 프로토콜
스택을 통해 전달받은 패킷을 파싱해 응용S/W(네트워크 SW)를
통해 최종적으로 사용자까지 데이터를 전달
장치
L7 switch, 방화벽
프로토콜
FTP, HTTP, HTTPS, XML, Telnet, SSH, SMTP, POP3, IMAP 등
TCP/IP 4layer PDU (protocol data unit 데이터의 단위)
TCP/IP 4layer
4계층 : application 응용계층 (L7, L6, L5)
3계층 : transport 전송계층 (L4)
2계층 : internet 인터넷계층 (L3)
1계층 : netwrok access 네트워크 접근계층 (L2, L1)
PDU (protocol data unit 데이터의 단위)
7계층 : 응용계층 - data
6계층 : 표현계층 - data
5계층 : 세션계층 - data
4계층 : 전송계층 - segment
3계층 : 네트워크계층 - packet
2계층 : 데이터링크계층 - frame
1계층 : 물리계층 - bit
라우터(Router)
Router :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장비
Routing :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과정
Gateway : 서로 다른 네트워크로 가기위한 통로
Router 특징
여러 개의 네트워크 IP 설정이 가능하다.
단 네트워크당 1개씩만 가능
주의할 점
router의 IP와 PC의 IP가 중복될 경우 충돌하여 PC의 IP가 삭제
CLI 설정
사용자(>) → enable → 관리자모드(#)
conf t → 장비설정 모드
int fa0/0 → 인터페이스 지정
ip add [아이피] [넷마스크] → IP추가
no sh → 활성화
do show ip int bri → 인터페이스에 추가된 IP를 확인
PC 가 다른네트워크로 통신시 GateWay가 필요
gateway IP는 같은 네트워크의 라우터IP
'코리아IT아카데미 [국비과정] >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리눅스 단축키 (12) | 2024.12.27 |
---|---|
[Linux] 리눅스 각 명령어(cp, mv, rm, alias 등) (1) | 2024.12.26 |
[Linux] 리눅스 초기 설정, Putty 프로그램 (5) | 2024.12.23 |
[Network/Program] 와이어샤크 (7) | 2024.12.20 |
[Network] 네트워크 개념 (4) | 2024.12.18 |